| 1주차 | 수업 안내 및 한국 사상사에 대한 이해(LMS+과제) | 
	                      
	                        | 2주차 | 불교사상의 수용과 정착 - 원광 / 원효/의상(LMS+과제) | 
	                      
	                        | 3주차 | 당나라 유학자의 새로운 사회로의 지향 - 최치원(LMS+과제) | 
	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주차 | 고려 지배체제 성립의 이론가 - 최승로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주차 | 유교적 합리주의자와 불교적 전통주의자 - 김부식과 일연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주차 | 고려 불교계의 통합과 새로운 모색 1-의천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주차 | 고려 불교계의 통합과 새로운 모색 2-지눌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주차 | 중간고사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9주차 | 고려 무인정권하의 문인 지식인 - 이규보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0주차 | 고려사회의 개혁과 새로운 국가의 모색 1-시대적 배경과 의미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1주차 | 고려사회의 개혁과 새로운 국가의 모색 2- 이색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2주차 | 고려사회의 개혁과 새로운 국가의 모색 3- 정도전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3주차 | 조선 성리학의 완성1-  이황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4주차 | 조선 성리학의 완성2 -  이이(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5주차 | 기말고사(대면시험 or LMS+과제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6주차 |  |